사회복지사 현장실습 2일차 실습일지 작성요령! 가계도와 생태도 이해부터 욕구조사 시뮬레이션까지 실습 내용을 구체적으로 정리했어요.
[사회복지사 현장실습 1일차] 보충내용
앞 전 글 사회복지 현장실습 실습일지 작성 요령
:20일 중 1일차에서 그날의 실습목표에 따른 실습내용과 실습생 의견 및 느낀 점에 대해서 제가 어떤식으로 작성했는지 더 자세하게 보여드리고 싶어서 한번 더 구체적으로 적고 넘어가려고 합니다. 1일차에 있었던 목표 중에서
- 실습 조 배정, 실습 일정 계획 수립
실습내용 : 실습을 위해서 조를 나누고 실습 계획을 숙지하고 일정을 확인했다. 20일 동안의 전체적인 교육 계획과 실습이 이루어지는 일정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을 들었다.
- 실습생 실습일지 작성하는 방법 안내 교육
실습내용 : 실습일지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을 듣고, 각자의 실습일지 양식에 따른 작성 노하우를 숙지하고 궁금한 부분에 대해서 질문하는 시간을 가졌다.
- 사회복지 실습생의 자세와 역할 숙지하기
실습내용 : 사회복지 실습생의 실습에 임하는 자세와 역할에 관한 설명을 듣고 숙지했다. 사티어(SATIR)가 제시한 의사소통 유형을 작성하고 내가 어떤 의사소통 유형인지 알아보고 바람직한 의사소통과 갈등 관리를 위한 방법을 알아보았다.
- 실습 마무리 및 의견 나눔, 지도자님 피드백
실습내용 : 20일 동안 진행될 실습 계획 및 일정에 대해서 조원들과 함께 의견을 나누고 지도자님과 질의응답 시간을 가지고 피드백을 받았다.
실습생 의견 및 느낀점
사회복지사 현장 실습 첫날 긴장과 설렘을 가지고 기관에 도착하였는데 기관에서 근무하고 계시는 사회복지사 선생님들의 얼굴을 대면 했을 때 대체적으로 밝은 이미지를 하고 계셔서 좋은 인상을 받아 개인적으로 기분 좋은 하루를 시작할 수 있었다. 자기소개를 돌아가면서 하고 센터장님, 실습지도자님, 사회복지사님들과 인사를 나누었고 오리엔테이션을 통해서 기관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일 수 있었다. 혼자서 일상생활이 어려운 어르신들에게 가사활동, 신체활동 등을 지원하는 기관이 재가복지센터인데 내가 실습을 진행하게 된 ** 센터는 **인의 요양보호사가 있고 공단으로부터 좋은 등급을 받은 우수한 개인 복지시설기관이다. 기관의 비전과 미션을 알게 되면서 내가 이곳에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생각해 보게 되었으며 다양한 프로그램과 활동을 통해서 클라이언트에게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를 상세히 알고 있는 시간이 되었다. 사회복지사 현장 실습 기간 동안의 일정과 주요 활동에 대해 안내를 받고 각 요일의 목표와 실습 진행 계획에 대한 설명을 들으면서 실습일지 작성이 생각보다 시간이 많이 걸릴 것 같은생각에 걱정이 됐지만 실습에 대한 기대감과 설렘 또한 많이 커졌다.
현장 실습 매일 반복 일정
사회복지사 현장실습을 하면서 매일 반복되는 활동은 오전에 9시 이전에 도착을 하고 실습생들이 다 모이면 지도교수님께서 그날의 학습자료들을 나눠주시고 1~2시간 이론교육을 해주십니다. 이론교육은 보통 우리가 학교나 교육원에서 배웠던 내용들이 대부분이고 실제 그것을 작성 또는 시물레이션 해보는 과정이 있었고 외부 실습활동을 나가서 어떻게 진행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설명, 교육해주셨습니다. 오후에는 외부 실습활동이 있으면 외부로 나가기도 하고 그날 그날 실습일정에 맞게 움직이게 됩니다. 오후 12시면 무조건 점심을 먹게 됩니다. 제가 실습을 진행했던 재가복지센터에서는 점심제공이 되지 않아 대부분은 1시간동안 근처에 나가서 외식을 하고 오는 분위기 였습니다. 저는 사실 쌀을 거의 먹지않는 스타일이라서 집에서 조금씩 도시락을 싸갈까? 생각도 잠깐 했었는데 첫날 점심시간을 지내보니 같이 실습을 진행하는 실습선배님과 실습동기들과 정보교환도 하고 점심시간이 많이 유익하다고 생각을 하게되서 내가 조금 먹더라도 가서 대화하는 시간을 갖자고 결론을 내리고 매일 같이 나가서 점심먹는 분위기를 즐겼습니다.
오늘은 20일 중 2일차
오늘은 20일 중 2일차 실습이었네요. 오늘의 목표는 “가계도와 생태도 이해하기”, “클라이언트 욕구 조사 이해하기”, 그리고 “욕구조사 과정 시뮬레이션 해보기”였어요. 다음 이어지는 글에서는 그 과정에서 어떤 활동을 했고, 무엇을 느꼈는지 구체적으로 설명드리려고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