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사 현장실습 20일중 16일차로 대한민국 장애인복지법의 기본이념부터 장애인의 권리와 실제 복지서비스까지 정리하며 현장감 있는 통찰을 제공합니다.
사회복지 현장실습 16일차, 이 시점에서 가장 먼저 마주한 질문이 “과연 우리 법이 현장과 맞닿아 있는가?”였다. 특히 장애인복지법을 펼쳐보면 그 문구는 ‘장애인의 인간다운 삶을 보장한다’고 선언하지만, 실제 현장에서 움직이는 권리와 서비스는 여전히 그림자처럼 뒤따른다는 느낌이 강하다.
그렇기에 오늘의 글에서는 장애인복지법에 관한이론 교육으로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시행규칙, 법의 목적 살펴보고, 장애인의 권리 및 복지서비스가 어떻게 현실화되고 있는지, 그리고 장애인 활동 지원서비스를 알아보려 한다.




실습생 의견 및 느낀점
장애인복지법에 대해서 깊이 이해를 얻게 되어 매우 의미가 있었고 장애인의 권리와 복지증진을 위한 법의 목적을 배우면서, 이 법이 단순한 규정이 아 니라 장애인들이 사회에서 평등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중요한 도구임을 알 수 있었다. 교육권, 직업 선택권, 의료 서비스 접근권 등 다양한 권리에 대한 구체적 인 학습은 장애인의 삶에 실질적으로 어떻게 적용되는지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됐 다. 장애인 활동 지원제도에 대해서 처음 알았는데 제도에 관한 내용이 인상 깊었다. 실제로 일상생활에서 많은 장애인이 겪는 어려움을 고려할 때, 이러한 지원이 얼마 나 중요한지 실감할 수 있었다.